20대 후반 취업준비 청년들이 사회로 첫 발을 내딛는 길이 그 어느 때보다 험난해졌다. 올해 1분기 20대 후반(25~29세) 취업자가 약 10만 명 가까이 줄어들며, 12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로 고용 충격이 극심했던 시기보다도 더 심각한 수치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0대 후반 취업자 수는 242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만8천 명 감소했다. 이는 2013년 3분기(-10만3천 명)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이며, 코로나19 여파가 정점을 찍던 2020년보다도 더 큰 낙폭이다.
20대 후반 취업자는 2023년 1분기를 시작으로 9분기 연속 전년 대비 감소 중이며, 그 폭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작년 3분기 4만4천 명, 4분기 6만2천 명이 줄더니, 올해 1분기에는 무려 9만8천 명이 줄었다.
인구 감소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올해 1분기 20대 후반 인구는 6만9천 명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경제활동인구는 8만5천 명 줄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0%포인트 감소했으며, 실업자는 1만3천 명 증가하고 실업률은 0.6%포인트 상승했다. 줄어든 인구보다 더 큰 폭으로 취업자와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실업률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 연령대 청년들이 아예 고용 시장에서 이탈하는 현상이다. 올해 1분기 20대 후반의 비경제활동인구는 1만6천 명 증가해, 2021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특히 일도 하지 않고 구직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는 1만8천 명 늘어났으며, 이는 4개 분기 연속 증가다.
청년 고용 부진의 주요 원인은 제조업과 건설업에서의 대규모 고용 감소다. 3월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1만2천 명 줄어 4년4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이는 9개월 연속 감소세다. 건설업 취업자는 같은 기간 18만5천 명 급감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감소폭이자 11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여기에 더해 기업들이 신규 채용보다 경력직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뚜렷해지면서, 사회에 첫발을 딛는 청년층의 기회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인구 구조적인 변화와 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현상이 맞물리면서, 20대 후반 청년들이 비경제활동인구로 남거나 아예 취업 시장 진입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청년들이 적성에 맞는 첫 직장을 찾을 수 있도록 유인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