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국힘 송언석 "당선 축하 파티하냐" 비판에…진짜 '33억 당선파티' 열었던 尹 소환된 이유

"정치추경" 20일 원내대책회의서 발언…전 국민 쿠폰·채무 탕감 등 '현금 살포' 비판

등록일 2025년06월20일 15시51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카카오톡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되려 ‘윤석열 33억 당선축하파티’ 소환

 

정부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30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내놓자,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를 “당선 축하 파티처럼 돈을 마구 뿌리는 정치 추경”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이 오히려 여론의 역풍을 불러오고 있다. 과거 윤석열 전 대통령이 실제로 33억 원의 세금을 들여 취임 만찬을 열었던 장면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재조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19일, 총 30조 5,000억 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13조 2,000억 원은 전 국민 소비쿠폰 예산으로, 6,000억 원은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으로 책정됐다. 송 원내대표는 바로 다음날인 20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해당 추경안에 대해 “취임 2주 만에 뚝딱 만들어진 졸속 포퓰리즘 추경”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전체 추경의 절반에 가까운 예산이 포퓰리즘적인 현금 살포에 집중돼 있다”며 “마치 대통령 당선 축하 파티를 열 듯이 돈을 마구 뿌리는 정치적 예산 편성”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어 “국민의힘은 이에 동의할 수 없다. 자영업자와 취약계층을 위한 집중적 지원이 우선”이라며 정부에 예산 재조정을 촉구했다.

 

 

   2022년 5월 9일 열린 윤 전 대통령 축하 만찬 

 

 

하지만 송 원내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곧바로 역풍을 맞았다. 네티즌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2년 취임식 당시, 신라호텔에서 160여 명의 내외빈을 초청해 33억 원을 들여 만찬을 연 사실을 소환하며 비판에 나섰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은 5월 10일 오후 7시, 서울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해외 축하사절단과 정재계 인사들을 초청해 전국 각지 특산물을 활용한 퓨전 한식 만찬을 제공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취임사와 마찬가지로 “자유, 평화, 번영”을 강조하며 건배사를 전했다.

 

윤 전 대통령의 취임식과 관련한 예산은 총 33억 원에 달했다. 이는 역대 대통령 취임식 중 가장 많은 액수다. 역대 취임식 예산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10억 원, 김대중 전 대통령 14억 원, 노무현 전 대통령 20억 원, 이명박 전 대통령 25억 원, 박근혜 전 대통령 31억 원 수준이었다.

 

반면 문재인 전 대통령은 대선 다음날 간소하게 국회 앞마당에서 취임식을 진행하고 만찬도 생략했으며, 이재명 대통령 역시 같은 방식을 따랐다. 이들에 비해 윤 전 대통령의 ‘33억 만찬’은 과잉 의전이란 비판을 받았던 전례가 있다.

 

송 원내대표의 ‘당선 축하 파티’ 발언에 네티즌들은 즉각 반발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윤석열이 해외 순방 명목으로 돈을 흥청망청 썼을 때는 조용하더니 이제 와서 국민 지원책을 파티라고 폄훼하냐”며 “정작 전국민 세금으로 파티한 건 국힘 쪽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또 다른 댓글에서는 “국힘 지역구만 소비쿠폰 제외하라. 왜 민생 지원에 훼방 놓느냐”, “전국민이 혜택받는 지원을 ‘파티’라고 한다면, 신라호텔 만찬은 뭐냐”는 등 강한 질타가 이어졌다. 일부 네티즌은 “국민을 위한 예산이 아니라, 진짜 자기들끼리 호화롭게 쓴 돈이야말로 축하 파티”라며 야당의 논리를 조롱했다.

 

한편 윤 전 대통령 취임식 당시 비판 여론이 일자,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 김연주 대변인은 “매번 물가 상승률에 따라 예산이 증가한 것이며, 신라호텔 선택은 경호 문제로 인해 불가피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당초 청와대 영빈관에서 외빈 만찬을 열 계획이었지만, 윤 전 대통령이 취임 당일부터 청와대를 개방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면서 경호상의 이유로 외부 호텔인 신라호텔을 선택하게 됐다는 것이다. 김 대변인은 “청와대를 오후 2~3시부터 통제해야 하는 상황이었고, 이는 개방 원칙에 위배된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민생을 위한 추경을 정치적 공방으로 몰아가는 행태는 반대를 위한 반대일 뿐이라는 비난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