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수도권 인구 평일 생활이동 총 7천135만건… 출근 서울→수도권 59분, 수도권→서울 71분 소요

서울·경기·인천·KT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발… 공공·휴대전화 데이터로 수도권 모든 이동 분석

등록일 2024년05월28일 14시12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카카오톡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출퇴근, 병원, 쇼핑 등으로 평일 하루 수도권을 오가는 인구이동이 7천100만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시간이 반대의 경우보다 1.2배 더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경기도·인천시·통계청·KT와 수도권 거주자의 모든 이동을 20분 단위로 분석할 수 있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인접 지역을 포괄한 데이터를 개발해 상시 공개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시도라고 설명했다.

3개 지자체와 연구원, 통계청과 (주)KT의 공공·통신 빅데이터를 융합한 정보다. 서울과 수도권 시민들의 출퇴근·등하교, 쇼핑·의료·관광· 방문 등 모든 종류의 이동을 포함한다. 대중교통 이용 정보와 인구조사, 휴대전화 신호 데이터를 가로·세로 250m 단위로 수집한 것으로 수도권 면적을 4만1000개로 나눠 추계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괄한 데이터를 개발해 상시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세계 유례없는 시도”라며 “수도권 내 모든 이동을 언제(시간대), 어디에서(출발지) 어디로(도착지) 어떻게(수단) 왜(목적) 이동했는지 내·외국인별로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기존에 공개하던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를 경기·인천까지 확장해 수도권 광역 정책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수도권 광역교통계획, 도시계획, 생활문화 시설 후보지 선정 등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현재 정부의 인구이동 관련 통계는 시·군·구 등 광범위한 공간을 대상으로 1∼5년 간격으로 발표되는데,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시공간 단위로 세밀한 분석이 가능해 시의성과 적시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대중교통 이용과 인구 관련 공공 빅데이터와 KT의 휴대전화 데이터를 수도권 4만1천여개(가로·세로 250m 격자 모양) 구역에 추계하는 방식으로 산출된다.

이를 통해 이동 주체가(내·외국인) 언제(시간대별) 어디에서(출발지) 어디로(도착지) 어떻게(이동수단) 왜(이동목적) 이동했는지 상세하게 분석이 가능하다.

 

데이터 분석 결과, 올해 1월 16일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출발 또는 도착지가 되는 이동은 하루 7천135만건으로 집계됐다.

경기도가 출발 또는 도착지가 되는 이동이 5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38%), 인천(10%), 기타(1%) 순이었다.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출근 땐 평균 59.4분,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근 땐 평균 71분이 걸렸다.

특히 출근시간은 인천→서울이 76.5분으로 가장 오래 걸렸다.

이어 경기→서울(65.4분), 서울→인천(64.3분), 서울→경기(54.4분) 순이었다.

같은 지역 내 출근 때 소요시간은 서울 35.3분, 경기 27.6분, 인천 25.9분이었다.

서울시민의 출근 시간대(오전 7∼9시) 이동현황을 보면, 89%가 서울 내로 출근하고, 10%는 경기도로, 나머지 1%는 인천으로 출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도 내로 출근하는 인구가 81%였으며, 17%는 서울로, 2%는 인천으로 출근했다.

인천은 77%가 지역 내로 출근하며, 경기도와 서울로 출근하는 인구는 각각 12%, 11%로 추정된다.

 

시도별 출근·등교·쇼핑·병원 등 목적별 이동 평균 시간과 거리를 분석한 결과, 서울은 평균 37분 내 일상과 밀접한 지점으로 이동이 가능한 도시로 나타났다. 경기는 40분 도시, 인천은 41분 도시였다.

거리로 환산하면 서울시민은 평균 6㎞ 반경 내, 경기와 인천은 9㎞ 반경 내에 생활권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시는 이 같은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광역도시계획, 신도시 수요예측 등 도시개발과 교통인프라·버스노선 최적화 등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정책에 적극 활용 계획이다.

데이터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를 통해 일 단위로 공개한다.

시는 민관 융합 데이터 및 실생활과 밀접한 공공 데이터를 지속해 발굴하고 공개해 누구나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활용하는 생태계를 만들 방침이다. 데이터 활용을 위해선 네거티브 규제 방식(원칙적 개방, 예외적 비공개)을 정착시킨다는 구상이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에 대해 "수도권 전체 시민의 삶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과학적 결과물"이라며 "누구나 활용 가능한 공공 분야 빅데이터로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된 연구, 창업, 경제활동 등이 활발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