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꿀벌 살리기’ 적극 나선 정부, 5개 부처 새 밀원수종 개발 협약

꿀벌군집붕괴현상 가속화… 2022년에만 350억 마리 사라져

등록일 2024년06월17일 14시28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카카오톡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꿀벌군집붕괴현상'을 막고자 5개 부처 소속기관이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과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등 5개 기관은 기상이변에 대응하는 새 밀원수종을 개발해 꿀벌과 생태계를 보호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17일 밝혔다.

 

'꿀벌군집붕괴현상'은 수백만마리의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현상을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2000년대 중반부터 보고된 현상으로 한국에서는 2022년 봄 처음으로 발생했다.

 

 

  한반도 토종 꿀벌 = 국립공원공단 제공


정부는 단순한 월동 폐사로 진단했지만 농민들은 평균적인 월동 폐사 비율(20%)을 크게 넘어서는 점, 여름에도 꿀벌이 사라지는 점 등을 들어 CCD로 주장하고 있다.

2023년 5월 18일 한국양봉협회에 따르면 2023년 봄 벌 깨우기를 마친 결과 2022년 월동 과정에서 82만3188군의 벌통에서 꿀벌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군당 약 2만 마리가 사는 것을 고려하면 2022년말과 2023초 겨울 사이 160억 마리 이상이 없어진 셈이다.

 

전체 양봉 꿀벌의 약 60%가 피해를 봤다. 일반적인 월동 폐사율(20%)보다 세 배 높은 수준이다. 2022년 5월경 월동 꿀벌 78억 마리가 사라진 것과 비교하면 실종 규모가 두 배 이상 커졌다.

 

2022년 9~11월 사이 약 100억 마리가 사라진 것까지 더하면 1년 새 한반도에서 340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진 셈이다. 2022년 봄 처음 꿀벌 실종이 발생한 뒤 상황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벌이 꿀을 채취하는 밀원이 줄어든 가운데 사육 꿀통의 밀도는 전 세계 1위인 상황, 농약을 많이 쓰는 양봉 환경 등이 맞물려 꿀벌의 면역력이 급격히 약화한 영향으로 분석하고 있다.

사실상 국내에 한 종류의 꿀벌이 서식하는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주위에서 흔히 보이는 꿀벌은 서양 꿀벌이다.

 

한국 재래꿀벌은 2009년 발생한 낭충봉아부패병으로 42만 군에서 2016년 1만 군으로 줄었다. 불과 7년 만에 재래꿀벌의 98%가 사라진 것이다. 개량종 등을 개발했지만 여전히 3만~10만 군 수준에 불과하다. 야생벌도 25% 이상 사라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밀원수 복원에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꿀벌의 먹이가 되는 식물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정철의 안동대 교수는 “농약, 기후변화 등 환경 변화에 적응하려면 잘 먹고 건강해야 하는데 한국의 꿀벌은 밀원수 부족으로 영양실조 상태”라며 “최소 30만ha의 밀원 면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밀원수종은 벌에게 꿀과 꽃가루 등 먹이를 주는 식물 종을 말한다.

 

국내에선 아까시나무가 대표적인 밀원수종인데 1960~1970년대 녹화사업 때 심었던 아까시나무들이 수명을 다하면서 밀원이 크게 줄었다.

 

야생식물 90%, 100대 식량 작물 70%가 벌에 의존해 수분하기 때문에 벌의 실종은 인류와 생태계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