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력 1만 5000명 이상 양성, 지능형 로봇전문기업 30개 이상 육성
로봇 친화적 인프라 구축 등 통해 로봇시장 규모 20조 원으로 성장
정부는 새로운 성장 동력인 K-로봇경제에 2030년까지 민관합동으로 3조 원 이상을 투자해 감속기, 자율조작 등 8대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매출 1000억 원 이상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도 30개 이상 육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2030년까지 100만 대 이상 로봇을 보급하고, 2000억 원을 투자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구축한다.
14일 오후 경기 성남시 판교동 만도넥스트M에서 열린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 모습 (사진 = 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만도넥스트M에서 방문규 장관 주재로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를 열어 로봇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이번 전략 추진을 통해 로봇시장 규모를 20조 원 이상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첨단로봇은 자동차, 조선 등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방위산업, 우주, 항공 등 신산업 분야와 서비스산업까지도 전방산업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산업이다.
산업부는 반도체, 배터리, 정보통신(IT) 등 튼튼한 후방산업과 우수한 제조역량을 활용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K-로봇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3대 핵심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2030년까지 민관합동으로 3조 원 이상을 투자해 기술, 인력, 기업 등 경쟁력을 강화한다. 감속기 등 5개 H/W기술과 자율조작 등 3개 S/W 기술 등 8대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중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고, 첨단로봇 산업을 이끌어갈 전문인력을 미래차, 드론 등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1만 5000명 이상 양성하고 매출 1000억 원 이상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도 30개 이상 육성한다.
이어서, 제조업, 물류, 복지, 안전 등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로봇을 2030년까지 100만 대 이상 보급해 생산성 향상과 사고율 저감 등 로봇의 산업적, 사회적 기여도를 높인다.
로봇기업이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충분한 트랙레코드를 쌓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인증도 적극 지원한다.
이와 함께, 지능형로봇법을 전면 개편해 기술진보와 로봇산업 변화에 맞게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새롭게 갖춘다.
아울러, 개발된 로봇이 시장과 국민 눈높이에 맞게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2000억 원을 투자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구축한다.
첨단로봇 산업비전 (자료 = 산업부)
한편, 이날 전략회의에서는 첨단로봇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로봇제조기업, 부품기업, 지원기관 등 11개 기관이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각 기관은 공동 연구개발, 시장창출, 표준화 등에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로봇산업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K-로봇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투자 확대와 해외 신시장 창출 등을 위해 범정부적으로 정책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