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대폭 삭감했던R&D 예산, 내년 24조8천억…올해보다 13%↑

과기정통부, 내년 주요 R&D 예산 발표… 일반 R&D 합치면 총 30조원 육박할 듯

등록일 2024년06월27일 14시55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카카오톡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올해 16.6% 감소해 논란이 되었던 연구·개발(R&D) 예산이 내년엔 삭감 전 수준으로 복구된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나눠먹기식 R&D는 제로베이스(원점)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이후 대폭 줄어든 예산이 과학계와 여론 비판에 밀려 한 해 만에 되돌아온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제9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를 개최하고 ‘202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를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에 따르면 내년 주요 R&D 예산은 총 24조8000억원으로, 올해(21조9000억원)보다 13.2% 늘어났다. 2023년(24조7000억원)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과기정통부는 “액수에서 역대 최대 규모”라고 설명했다.

내년 주요 R&D 예산으로 과기정통부는 ‘3대 게임 체인저 기술’을 집중 육성한다. AI·반도체(1조2000억원), 첨단바이오(2조1000억원), 양자(1700억원) 분야에 약 3조4000억원을 투입한다.

기초연구 예산으로는 2조9400억원을 책정했다. 이를 통해 우수 성과자의 후속 연구를 지원하고, 개척 단계에 해당하는 연구에도 투자하기로 했다. 2차전지와 디스플레이 등 첨단 분야에 2조4000억원, 우주와 미래 에너지 분야에 3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이날 발표된 주요 R&D 예산은 과기정통부가 관리하며,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국가 지원을 받는 연구 시설에서 장비 구축과 인재 육성 등에 사용한다. 주요 R&D 예산은 정부 전체 R&D 예산의 80%를 차지한다.

나머지 20%는 기획재정부가 관리하는 일반 R&D 예산이다. 인문·사회 분야 연구비를 포함해 대학 등에 주어지는 각종 지원금이다.

일반 R&D 예산은 올해 4조6000억원이었다. 내년 액수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와 비슷한 규모가 된다면 정부 전체 R&D 예산은 총 29조4000억원이 된다. 올해 정부 전체 R&D 예산(26조5000억원)보다 2조9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이번 주요 R&D 예산 증액은 지난해 6월 윤 대통령이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나눠먹기식, 갈라먹기식 R&D는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한 이후 나타난 결과를 되돌리는 의미가 있다.

당시 여당에서는 윤 대통령 발언 이후 “과학계에 ‘카르텔’이 있다”는 주장을 쏟아냈다. 과학계 인사들이 서로 짜고 예산 낭비를 초래한다는 것인데, 결국 올해 R&D 예산이 크게 줄어든 이유가 됐다. 하지만 예산 수조원을 깎을 만큼의 구체적인 카르텔 사례가 정작 나오지 않으면서 과학계와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일단 과학계에서는 R&D 예산 수준이 복원된 데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예산이 일부 대형 사업에만 쏠린다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신명호 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 정책위원장은 “내년 R&D 예산이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에 쓰일지에 주목해야 한다”며 “줄어든 올해 예산 때문에 타격을 입은 대학원생이나 신진 연구자들에게 늘어난 예산을 우선 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주요 R&D 예산은 기재부 검토와 국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