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월29일은 세계 뇌졸중 기구가 지정한 '세계 뇌졸중의 날'이다. 뇌졸중은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별다른 신호 없이 찾아오지만 국내 사망 원인 4위이자 치료 후에도 반신마비 등 후유증이 심각하다. 아침, 저녁으로 쌀쌀해 일교차가 10도 이상 크게 벌어지는 요즘 같은 날씨에는 뇌졸중 발병 위험이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뇌졸중을 포함한 뇌혈관 질환은 국내 사망 원인 4위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환자 수도 크게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뇌졸중 환자 수는 2019년 61만3824명에서 2023년 65만3409명으로 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80세 이상 남성은 5만5857에서 7만2927명으로 30%가 늘었고, 여성은 8만6502명에서 10만2999명으로 19% 증가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일교차는 뇌졸중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교차가 커지면 몸의 혈관은 급속히 축소되고 이는 혈압 상승으로 이어져 뇌졸중 발생 위험을 높인다.2017년 발표된 국내 연구 논문에 따르면 일교차가 1도씩 높아지면 뇌졸중 발생 위험은 2.4% 증가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 뇌 손상이 발생하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파열돼 뇌압 상승과 직·간접적인 뇌 손상이 동반되는 '뇌출혈'로 구분된다. 뇌졸중의 70% 이상은 뇌경색이다. 우호걸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경색은 서구화된 식습관과 당뇨병, 비만 발병률 증가 등으로 뇌출혈에 비해 발생 비중이 높다"고 말했다.
뇌경색의 대표적인 원인 질환에는 죽상동맥경화증이 있다. 죽상동맥경화증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에 의해 혈관내벽이 손상되고 콜레스테롤이 침착돼 혈관이 좁아져 발생한다. 좁아진 뇌혈관이 결국 막히거나 혈전(응고된 피 덩어리)이 생성,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으면서 뇌경색이 발생하는 것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3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뇌졸중’ 및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은 각 62.0%와 52.9%로, 성인 10명 중 5~6명만 조기증상을 아는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조기증상에 대한 인지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뇌혈관질환은 그 어떤 질환보다 '시간과의 싸움'이 중요하다. 골든타임이라고 말하는 '4시간30분'이 지나면 시술이나 수술을 하더라도 환자는 심각한 후유증을 갖게 되거나 사망한다.
하지만 조기 증상을 숙지하고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는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얼마나 빨리 병원에 도착해 처치를 받느냐에 따라 남은 생의 질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뇌졸중·심근경색증의 위험성과 대응 요령에 관한 대국민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홍보 콘텐츠를 질병관리청 누리소통망(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국가건강정보포털 등을 통해 확산 중에 있으며, 10.29.(화)부터 11.11.(월)까지 퀴즈 이벤트를 실시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조기증상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평소에 뇌졸중·심근경색증 조기증상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하며, “특히 고령자, 고혈압·당뇨병 환자 등 기저질환자, 과거 병력이 있는 고위험군은 한파 시 외출 자제 등 겨울철 건강관리에 관심을 기울여 주실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