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6월 모평 킬러문항 배제.. EBS 연계율 50% 이상

EBS "작년 수능보다 쉬워" vs 입시업체 "작년만큼 어려워"

등록일 2024년06월04일 15시09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카카오톡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4일 시행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은 지난해 치러진 2024학년도 수능보다 다소 쉬웠지만 지난해 9월 모의평가에 비해서는 어려웠던 것으로 분석됐다. 수학 영역 역시 까다로웠던 작년 수능과 비슷하거나 다소 쉬운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평가받았다.


정부 방침대로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이른바 ‘킬러문항’은 배제됐다는 평가도 나왔다.

 

EBS 국어 대표 강사인 중동고 최서희 교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5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국어영역 출제 경향 브리핑에서 “국어 영역은 2024학년도 수능보다 다소 쉽게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며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소위 킬러문항은 확실히 배제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9월 모의평가와 비교했을 때 조금은 어렵게 느끼지 않았을까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수능 국어 영역은 표준점수 최고점이 150점에 이를 정도로 어려운 시험으로 꼽힌다.

 

 

 교육부 제공
 

 

지난해 9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 역시 표준점수 최고점이 142점이어서 쉽지 않은 시험으로 평가받았다. 이보다 다소 어렵다는 평으로 미뤄 볼 때 수험생들에겐 만만치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최 교사는 “단편적인 이해를 통해 답을 찾아내는 문제가 아니라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해야 하는 종합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항으로 변별력을 확보했다”고 했다.

 

EBS 연계 문항은 총 23개였다. 이중 22개 문항이 공통과목, 1개 문항은 선택과목에서 연계됐다.

 

최 교사는 “지난해 수능에선 20개 문항이 공통과목, 3개 문항이 선택과목과 연계됐는데 이번에 공통과목 연계 문항이 늘었다”며 “학생들이 보통 공통과목인 문학과 독서를 어려워하는데, (공통과목 연계 문항이 늘어) 체감 연계도가 높았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독서에선 4개 지문 중에서 사회, 과학·기술, 인문 주제 통합 등 3개 지문이 EBS 수능 연계 교재에서 출제됐다. 문학에선 6개 작품 중 4개 작품이 EBS 연계교재에서 나왔다.

 

고전 소설은 교재 수록 부분과 다른 장면이 실렸고, 현대시는 작품의 전문, 고전 시가는 교재 수록 부분 중 일부가 그대로 등장했다. 현대소설은 지문 대부분이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연계돼 출제됐다.

 

변별력 높은 문항으로는 ‘중합 과정’을 정확히 이해했는지 묻는 과학·기술 지문에 포함된 9번과 ‘도덕 문장’의 진리 적합성에 대한 각기 다른 입장을 파악하고 〈보기〉에 제시된 정보를 비교해 이해할 수 있는지 묻는 16번, 작품의 서술방식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지 묻는 27번 등이 꼽혔다.

 
수학 영역 출제경향에 대한 브리핑은  EBS 수학 대표 강사인 심주석 인천하늘고 교사가 진행했다.  심교사는 "작년 수능보다 쉬운 수준에서 출제됐고 변별력도 충분히 확보됐다"고 밝혔다.

작년 9월 모의평가와 비교해선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운 수준으로 분석된다"며 "작년 수능과 9월 모의평가 사이에서 학생들이 난이도를 느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 지나친 계산은 요구한다거나 불필요한 개념으로 실수를 유발하는 문항은 배제됐다"며 "소위 '킬러문항'이 아니면서도 최상위권 학생들을 변별할 수 있는 수준의 문항들이 출제됐다"고 말했다.

작년 수능에서 수학은 표준점수 최고점이 148점으로 어렵다고 평가받았다. 작년 9월 모의평가(144점)도 수능보다는 쉽지만 만만치 않은 시험으로 분석됐다.

공통과목인 '수학Ⅰ', '수학Ⅱ'에서 변별력이 높은 문항으로는 정적분의 의미를 파악하고 주어진 조건을 해석해야 해결할 수 있는 15번, 주어진 규칙에 따라 수열의 항을 나열한 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열의 첫째항을 구하는 22번이 꼽혔다.

선택과목에서는 '확률과 통계'에서 중복조합의 개념을 바탕으로 조건에 맞는 함수 개수를 구하는 30번,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극한의 성질을 활용해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미적분' 30번, 쌍곡선과 평면벡터의 정의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벡터 크기의 최댓값을 구하는 '기하' 30번 역시 각각 수험생들이 까다롭게 느꼈을 것으로 분석됐다.

EBS와 달리 입시업체들 사이에서는 작년 수능만큼 어려운 시험이라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종로학원은 "작년 6월, 작년 본수능과 비슷할 정도로 높은 변별력을 유지했다"고 평가했다.

작년 6월 모의평가에선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151점에 달해 '불수학'으로 꼽혔다.

특히 "통상 공통과목 객관식 마지막 문항인 15번은 수학Ⅰ에서, 주관식 마지막 문항인 22번은 수학Ⅱ에서 출제됐는데 이번에는 15번 문항이 수학Ⅱ, 22번이 수학Ⅰ에서 출제됐다"며 "평소 패턴과 달라져 수험생들은 상당히 당황스러웠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투스 에듀도 "작년 수능과 전체적인 난이도가 유사했다"며 "공통 과목 부문에서 22번 문제가 다르게 배열돼 학생들이 다소 당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메가스터디는 한발 더 나아가 "작년 수능보다 약간 어렵다"고 평가했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