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도시가 읍면 지역보다 더 우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6명 중 1명꼴로 수학 과목의 기초학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기초학력이 미달인 고2 학생 비율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표본집단 평가로 전환된 2017년 이래 최고치를 찍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7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 평가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 현황과 변화 추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매년 실시되는 평가이다.
중3과 고2 전체 학생의 약 3%를 표본으로 추출해 국어, 수학, 영어 교과별 학업 성취 수준을 4수준(우수 학력), 3수준(보통 학력), 2수준(기초 학력), 1수준(기초학력 미달) 등 4단계로 진단한다.
지난해 9월 실시된 이번 평가에는 전국 476개교에서 2만4천706명의 중·고교생이 참여했다.
중3의 기초미달 비율은 국어(9.1%), 수학(13.0%), 영어(6.0%)에서 모두 하락했다.
국어의 경우 2.2%포인트, 수학은 0.2%포인트, 영어는 2.8%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그러나 고2의 기초미달 비율은 국어(8.0→8.6%), 수학(15.0%→16.6%)에서 확대됐다.
특히 고2 수학 과목의 기초미달 비율은 2019년(9.0%)부터 4년째 상승세를 지속해, 학업성취도 평가가 전수평가에서 표본집단 평가로 전환된 201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2 국어 과목의 기초미달 비율 역시 2018년(3.4%)부터 5년 연속 커져 2017년 이후 최고 수준을 찍었다.
고2의 기초미달 비율은 영어에서만 9.3%에서 8.7%로 줄었다.
보통 이상(3수준 이상) 비율은 중3의 경우 국어 과목에서 61.2%, 수학 49.0%, 영어 62.9%를 기록했다.
국어와 수학은 전년보다 2.2%포인트, 0.7%포인트 각각 하락했으나, 영어에서는 7%포인트 올랐다.
보통 이상의 학업성취를 보인 고2는 국어에서 52.1%, 수학 55.9%, 영어 70.4%로 나타났다.
국어는 1.9%포인트 하락했으나, 수학과 영어는 각각 0.7%포인트, 4.1%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다만 교육부는 전수 평가가 아닌 표본집단 평가인 터라 중3 영어의 보통 이상 비율 확대, 중3 영어 기초미달 하락 외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없는 변화라고 설명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표집평가 특성상) 오차 구간이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제외하면) 몇 년 전 자료와 비교하기에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2017년 표집 평가 이후로 통계치 흐름을 보면 '수포자' 문제가 계속해서 중요해지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기초학력 지도 등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별 성취 수준을 보면, 중3·고2 모두 국어, 영어에서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3의 보통 이상 비율은 국어 과목의 경우 남학생은 52.5%, 여학생은 70.4%였다. 영어 과목에선 남학생 57.5%, 여학생 68.5%로 분석됐다.
고2의 보통 이상 비율은 국어 과목에서 남학생 44.7%, 여학생 59.7%였다. 영어 과목에선 남학생 63.2%, 여학생 77.9%로 나타났다.
다만 중3·고2 수학에서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중3의 기초미달 비율은 국어 과목의 경우 남학생 12.7%, 여학생 5.3%였다.
수학에선 남학생 14.8%, 여학생 11.1%를 기록했고, 영어 과목에선 남학생 8.6%, 여학생 3.1%로 조사됐다.
고2의 기초미달 비율은 국어 과목에선 남학생 11.7%, 여학생 5.4%였다. 영어 과목에선 남학생 11.7%, 여학생 5.5%로 분석됐다.
고2 수학 과목에선 남녀 간 학업성취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 규모별로 보면 고2에게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3은 수학, 영어에서 대도시의 학업성취도가 읍면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수학에서 보통 이상을 보인 중3 비율은 대도시는 56.2%였고, 읍면 지역은 38.6%에 그쳤다.
영어 보통 이상 중3 비율은 대도시는 68.6%, 읍면 지역은 54.4%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평가와 함께 실시한 학교생활 행복도 조사에서는 행복도를 '높음'으로 답한 중3 비율이 58.6%로, 1년 전보다 4%포인트 하락했다.
고2는 이 비율이 61.4%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학생-교사 관계도가 '높음'이라고 답한 중3 비율은 56.5%로 전년보다 3.8%포인트 하락했다.
고2에게선 이 비율이 61.9%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떨어졌다. 다만 고2에서 하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자신감, 가치, 흥미, 학습 의욕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중3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의 '높음' 비율과 고2 국어 교과에 대한 자신감의 '높음'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정서적 역량 평가에서 공동체 의식의 '높음' 비율은 중3의 경우 46.2%, 고2는 51.4%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 수준의 '높음' 비율은 중3은 62.6%, 고2는 67.3%로 조사됐다.
회복탄력성의 '높음' 비율은 중학교 55.7%, 고등학교 60.1%였다.
성취 수준에 따른 사회·정서적 역량을 보면, 보통 이상의 공동체 의식, 협업, 갈등 해결, 스트레스 대처, 회복 탄력성 등의 '높음' 비율이 기초미달보다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